
※ 해당 제품은 실제 포스트잇 상품임
문구점을 가면 포스트잇과 같은 점착 메모지에 서식을 적용해서 파는 제품들이 있다. 예를 들면 위 사진과 같은 식으로 전화번호를 메모하도록 한다거나 라인이 그려져 있다거나 등등의 양식. 그런게 아니더라도, 특히나 유치원이나 학교 등 교육기관에서 누가봐도 프린터로 인쇄한듯한 컴퓨터 글자가 써진 포스트잇을 본 분이 있을 수 있겠다. 이런 포스트잇은 사실 워드프로세서로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

| 만드는 방법 1. 한글에서 1*1 표를 만들되, 크기는 포스트잇 크기와 동일하게 생성 2. 해당 파일을 일단 그대로 인쇄. 3. 표 안에 필요한 내용을 작성한다. 4. 종이에 포스트잇을 붙이고 인쇄 |
방법은 간단하다. 한글에서 표만들기를 한 후 가로1, 세로1의 표를 만들되 크기를 실제 포스트잇 크기로 지정하고 만들면 된다. 한글에서 표의 크기를 지정하기 위해서는 크기 지정을 '임의값'으로 한 뒤 뒤쪽에 숫자를 입력하면 된다. 한글 버전에 따라 숫자 뒤의 단위가 mm가 아니고 point 등 다른 단위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는 단위를 클릭해 mm 단위로 바꾸면 된다.

그러면 포스트잇 크기는 어떻게 알아내느냐. 무식하게 하려면 진짜 자를 갔다대고 재 본 다음에 만들어도 된다. 포스트잇은 제품군별로 (색깔과 관계없이) 사이즈가 표준화되어 있으므로 이 사이즈를 미리 알아보고 거기에 맞춰서 표를 만들면 된다. 제품을 처음 사면 겉비닐에 사이즈가 적혀 있고, 그게 아닐 경우 3M 포스트잇 공식 사이트에서 알아볼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많이 쓰이는 사이즈만 적어둔다.
| 포스트잇 주요 사이즈별 크기(mm) | ||
![]() 653노트 : 51mm*38mm |
![]() 654노트 : 76mm*76mm |
![]() 656노트 : 51mm*76mm |
![]() 657노트 : 102mm*76mm |
![]() 655노트 : 127mm*76mm |
![]() 670플래그(종이) : 50mm*15mm |
그리고 팁. 처음에 표를 만들고 인쇄하는 이유는 포스트잇을 붙여야 할 위치가 필요하기 때문인데, 나중에 내용을 작성한 다음 다시 인쇄를 하면 내용이 들어간 표의 테두리가 제대로 인쇄되지 않거나 삐뚠 경우가 많다. 이른바 프린터의 용지함(트레이)이 딱 맞지 않고 흔들리기 때문인데 이를 제대로 딱 맞게 뽑아내려면 고오오급 프린터가 필요하므로 내용 작성을 하고 난 뒤에는 테두리를 지우고 인쇄하는 것이 더 낫다.
-mazefind (트위터 / 인스타 / 유튜브 / 카카오)
* 제 글은 퍼갈 수 있습니다. 단, 출처를 인터넷 주소(maplestory.pe.kr)로 남겨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