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산불이 기승을 부리면서 서울의 60%정도나 되는 면적이 화마에 삼켜지는 등 피해가 겉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다. 그래서 나도 이런 곳에 기부 등으로 도움을 주고 싶다 하실 분들 계실 텐데, 예전에 생긴 고향사랑기부제 라는 제도로 해당 지자체에 직접 기부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영상] 10만원까지는 연말정산에서 100% 새액공제가 되며, 10만원 초과분도 16.5%의 세액공제 혜택이 있다. 또한 기부금의 30%는 해당 지자체 답례품몰에서 사용가능한 포인트로 돌려받는다. 이번 글에서는 고향사랑기부제를 통해 산불발생지역에 기부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고향사랑e음
지역을 응원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 고향사랑기부제 정부/자치단체 공식 포털
www.ilovegohyang.go.kr
1. 고향사랑기부제 홈페이지에 접속해 가입. 가입은 카카오톡이나 네이버 인증을 연동하여 가입 가능하다. 가입이 완료되었다면 '지정기부'를 눌러보도록 하자.
※ 일반기부 : 기부금이 사용할 사업이나 목적을 정하지 않고 '자치단체'에 기부
※ 지정기부 : 자치단체가 아닌 '특정 사업'에 기부
2. 지정기부 목록 중 산불 관련 사업을 클릭. 찾기 힘들다면 검색창에 '산불'로 검색해보자.
3. 기부 상세 페이지에서 '기부하기'를 클릭한다.
4. 기부하기 페이지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하고 동의사항에 체크한 뒤 '기부금 납부하기'를 클릭한다.
- 기부가능여부 확인 : 본인의 주민등록번호 뒷자리를 누르고 '주소확인하기'를 누른다. 이 절차가 왜 있냐 하겠지만 고향사랑기부제는 자신의 주소지엔 기부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주소 확인을 위해 필요하다고 한다.
- 기부금 입력: 기부금을 입력한다. 10만원까지는 연말정산에서 전액 세액공제가 되며, 10만원 초과 금액은 16.5% 세액공제를 적용받는다.
- 답례품지급: 고향사랑기부제로 기부를 하면 기부금의 30%를 포인트로 받아 해당 지자체의 답례품몰에서 사용이 가능한데 이걸 받지 않을 수도 있다. 30% 포인트를 날리겠냐고 물어보는건데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답례품을 제공받는다에 체크하자.
5. '기부금 납부하기'를 누르면 팝업으로 결제창이 뜬다. 인터넷지로 시스템을 이용하는데 본인이 납부하고 싶은 방식을 선택해 결제하면 된다. 개인적으로는 계좌이체가 가장 쉬운 듯한.
7. 결제가 끝나면 '납부완료' 창이 뜬다. 이 창이 뜨면 돈도 빠져나가 있을 것이고, 기부는 완료된 상태다. 다만 가장 아래쪽의 '확인'을 눌러주지 않고 그냥 종료하면 인터넷지로 납부내역과 기부시스템 연동이 약 3일 정도 지연된다고 한다. 나도 2곳에 기부를 했는데 하나는 '확인'을 누르니까 납부번호와 납부일자가 바로 뜨는 반면, '확인'을 누르지 않고 종료하면 납부결과가 바로 뜨지 않았다. 요 내용이 확인되려면 약 3일이 필요하다고.
가메톡메이플 (https://maplestory.pe.kr)